AWIQLI
LAI 287; insulin icodec
AWIQLI®는 호주, 캐나다, 유럽 연합, 중국, 일본에서 출시된 최초의 주 1회 투여형 피하주사(SC) 인슐린으로, 기존 매일 투여해야 하는 기저 인슐린과 비교해 투여 방식에서 큰 장점을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T1DM (제1형 당뇨병)과 T2DM (제2형 당뇨병) 환자들이 인슐린 치료에 따른 투여 부담을 덜 수 있습니다.

AWIQLI® 개요
- Novo Nordisk
- 지속형 기저 인슐린 유사체
- 제1형 당뇨병 및 제2형 당뇨병 치료로 주1회 SC투여
- 2023년 G7 시장에서 제1형 당뇨병 진단 유병 증례 ~180만건
- 2023년 인슐린 치료 중인 제2형 당뇨병 진단 증례 ~1,060만 건
블록버스터 신약 선정 이유
AWIQLI는 주 1회 피하주사(SC)로 투여하는 기저 인슐린 유사체로, T1DM 및 T2DM (제1형 당뇨병 및 제2형 당뇨병) 모두에서 최대 8일의 긴 반감기를 보입니다. 또한, Novo Nordisk는 환자의 이전 투여량과 혈당 수치에 따라 개별적으로 최적화된 인슐린 용량을 찾을 수 있도록 ‘DoseGuide’라는 모바일 앱을 함께 개발했습니다. 그러나, FDA가 내분비 대사 약물 자문위원회의 권고에 따라 CRL(완전 응답 서한)을 발행하면서, 미국 내 출시는 지연되었습니다. CRL에는 제조 공정 및 T1DM관련 데이터와 관련된 요청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회사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FDA와 긴밀히 협력하고 있으나, 2024년 내에 요청이 완료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
다른 국가 및 지역에서는 ONWARDS 3상 프로그램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AWIQLI가 승인을 받았습니다. 이 프로그램에서는 다른 인슐린 유사체와 비교한 긍정적인 효능과 안전성 데이터를 보여주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저혈당 발생률이 기록되었습니다. 특히 T2DM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에는 AWIQLI를 처방받을 가능성이 높은 주요 환자군이 모두 포함되었습니다.
-
ONWARDS 1: 인슐린 비순응 성인 제2형 당뇨병 환자
-
AWIQLI(주1회 SC) vs. 인슐린 글라진(매일 SC): 두 환자군 모두 배경 항당뇨병 치료 병행
-
52주차에 기준치 대비 HbA1c가 감소: AWIQLI 사용 시 -1.55% vs 인슐린 글라진 사용 시 -1.35% (통계적으로 유의미)
-
저혈당 2단계 또는 3단계 발생 없이 목표 혈당(<7%)에 도달한 비율이 AWIQLI 투여군에서 더 높게 나타남.
-
AWIQLI 사용 시 환자-년당 임상적으로 유의미하거나 심각한 저혈당 발생 건수 0.30건 vs 인슐린 글라진 사용 시 0.16건(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음)
-
ONWARDS 2: 과거에 인슐린 치료를 받은 적이 있는 성인 T2DM 환자
-
AWIQLI(주1회 SC) vs. 인슐린 데글루덱(매일 SC). 두 환자군 모두 배경 항당뇨병 치료 병행
-
26주차에 기준치 대비 HbA1c가 감소: - AWIQLI 사용 시 -0.93% vs. 인슐린 데글루덱 사용 시 0.71% (통계적으로 유의미)
-
환자-년당 임상적으로 유의미하거나 심각한 저혈당 발생률: AWIQLI 0.73건 vs. 인슐린 데글루덱 0.27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음)
-
ONWARDS 3: 인슐린 비순응 성인 제 2형 당뇨병 환자
-
AWIQLI(주간 SC) vs. 인슐린 데글루덱(매일 SC). 두군 모두 배경 항당뇨병 치료 병행
-
26주차 기준 HbA1c 감소: AWIQLI -1.57% vs. 인슐린 데글루덱 -1.36% (통계적으로 유의미)
-
환자-년당 임상적으로 유의미하거나 심각한 저혈당 발생률: AWIQLI 0.31건 vs. 인슐린 데글루덱 0.15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음)
-
ONWARDS 4: 기저-식전 인슐린 요법을 받는 성인 제 2형 당뇨병 환자
-
AWIQLI(주 1회 SC) + 인슐린 아스파트(식전 SC 2-4회) vs. 인슐린 글라진(매일 SC) + 인슐린 아스파트(식전 SC 2-4회)
-
26주차에 기준치 대비 HbA1c가 감소: - AWIQLI 사용 시 -1.18% vs 인슐린 글라진 사용 시 1.16% (통계적으로 유의미)
-
환자-년당 임상적으로 유의미하거나 심각한 저혈당 발생률: AWIQLI 5.64건 vs. 인슐린 글라진 5.62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음)
-
ONWARDS 5: 인슐린 비순응 성인 제 2형 당뇨병 환자
-
AWIQLI(주 1회 SC; DoseGuide 앱 병행 사용) 대 인슐린 글라진(매일 SC)
-
52주차 기준 HbA1c 감소: AWIQLI -1.68% vs. 인슐린 글라진 -1.31% (통계적으로 유의미)
-
환자-년당 임상적으로 유의미하거나 심각한 저혈당 발생률: AWIQLI 0.19건 vs. 인슐린 글라진 0.14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음)
-
ONWARDS 6: 성인 제 1형 당뇨병 환자
-
AWIQLI(주1회 SC) + 인슐린 아스파트(식사 시 SC3회) vs. 인슐린 데글루덱(매일 SC) + 인슐린 아스파트(식사 시 SC 3회)
-
26주차 기준 HbA1c 감소: AWIQLI -0.47% vs. 인슐린 데글루덱 -0.51%
-
환자-년당 임상적으로 유의미하거나 심각한 저혈당 발생률: AWIQLI 19.93건 vs. 인슐린 데글루덱 10.37건 (통계적으로 유의)
2상 임상시험에서는 AWIQLI가 인슐린 글라진 대비 저혈당 발생률이 다소 높게 나타났으나, 3상 임상시험 결과에서는 제2형 당뇨병 환자군의 경우 두 그룹 간 차이가 크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심사 및 승인 현황
2023년 4월
- BLA 제출: 미국 FDA
- MMA제출:E.U. EMA
2023년 8월
- NDA 제출: 일본 PMDA
2024년 5월
- 승인: E.U. EMA
2024년 6월
- 승인: 일본 PMDA, 중국 NMPA
2024년 7월
- CRL: 미국 FDA
실제 및 예상 출시:
- 2024년: E.U., 일본, 중국(제2형 당뇨병만 해당), 영국
- 2025년: 영국, 미국
특허만료 예상시기: 2023년
약물 일정 및 성공 확률


출처: Cortellis Competitive Intelligence, Drug Timeline & Success Rates Prediction, 2024년 10월 31일 기준
AWIQLI가 제1형 당뇨병과 제 2형 당뇨병 시장에 미칠 영향은?
-
제2형 당뇨병 시장은 비만과 심혈관 질환 위험의 증가, 인구 고령화 등 인구통계학적 요인으로 인해 성장이 예상됩니다.
-
T2DM의 치료제 파이프라인에는 150여 가지 약물이 활발히 임상 개발 중입니다. 또한, GLP-1 RA는 3상 파이프라인에서 우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는 편의성이 향상된 경구용 옵션(예: Eli Lilly의 orforglipron), GLP-1 병용 요법(예: Novo Nordisk의 IcoSema[Insulin icodec + semaglutide]와 Novo Nordisk의 CagriSema[cagrilintide + semaglutide]), 기타 인슐린 유사체(Eli Lilly의 insulin efsitora alfa) 등이 있습니다.
-
인슐린 대체 요법은 여전히 T1DM의 1차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으며, AWIQLI는 주 1회 투여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환자들로부터 긍정적인 반응을 얻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
T1DM과 T2DM을 대상으로 하는 인슐린 시장은 이미 잘 형성되어 있지만, 인슐린 제형 개선을 목표로 한 연구가 진행 중입니다.
-
AWIQLI가 Eli Lilly의 주 1회 투여 인슐린 efsitora alfa보다 먼저 출시된다면, 이에 따른 우위가 예상됩니다.
-
AWIQLI는 약물 치료를 받는 인구의 증가와 맞물려 주요 시장에서 지속형 인슐린의 매출 감소를 부분적으로 상쇄하여 2022년 170억 달러에서 2032년 230억 달러로 매출을 끌어올릴 것으로 예상됩니다. 전반적으로, 인슐린 치료가 필요한 대부분의 환자가 이미 매일 지속형 인슐린을 처방받고 있기 때문에 AWIQLI의 출시가 인슐린 시장의 전반적인 확대로 이어지기는 어려울 전망입니다
-
그러나 인슐린 글라진, 인슐린 데글루덱과 같은 인슐린 유사체의 비브랜드 바이오시밀러 버전과 호환 버전의 등장, 인슐린 펌프의 사용 증가, T2DM 환자의 인슐린 치료 시작을 더욱 늦춰 주는 GLP-1 RA 제품의 보급 확대가 AWIQLI에게 위협요인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AWIQLI은 어떤 치료 공백을 메울 수 있는가?
AWIQLI의 출시로 많은 환자들이 인슐린 주사와 관련된 투약 부담을 크게 덜어 삶의 질이 개선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T2DM 환자보다는 T1DM 환자에게 더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이는 간접적으로 치료 순응도 향상으로 이어질 수도 있습니다,
블록버스터 신약이 되기 위해 극복해야 하는 문제는?
AWIQLI의 상업적 성공을 저해할 수 있는 주요 장애물로는 주1회 인슐린의 안전성에 대한 불확실성이 있습니다. 특히 T2DM 환자에서 저혈당 위험이 주요 우려사항입니다. 또한, 정해진 시간 외 투여 가능성, 주당 투여 빈도가 낮을 경우 용량 조정 및 적정에 대한 이해 부족 등의 문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더 나아가, 주간 인슐린의 효능과 안전성에 대한 신뢰를 높이기 위해서는 장기적인 Real-World데이터를 확보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마지막으로, 다른 치료법과의 경쟁도 AWIQLI에 대한 위협 요소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