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duct logins

Find logins to all Clarivate products below.


여성 건강: 오랜 기간 소외되었지만, 이제는 글로벌 투자 우선순위로

전 세계 인구의 절반을 여성이 차지함에도 불구하고, 여성 건강은 오랜 기간동안 충분한 관심과 연구 및 투자를 받지 못했습니다. 편두통, 자가면역질환, 정신질환처럼 여성에게 유병률이 높거나 증상이 더 심하게 나타나는 질환들은 그 부담에 비해 연구 투자 수준이 매우 낮았습니다. 또한 심혈관질환처럼 남성 중심의 생리학을 기준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던 분야에서는,여성들이 더 나쁜 치료 결과를 겪는 경우도 많았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상황은 점차 바뀌고 있습니다. 연구 격차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더 포괄적인 연구 설계와 투자 확대, 그리고 여성 건강을 틈새가 아닌 보건의 핵심 우선순위로 다루려는 정책 움직임이 세계적으로 강화되고 있습니다.

여성 건강의 정의를 확장하다

오늘날 “여성 건강”은 생식,산부인과 영역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인식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습니다. 자가면역질환처럼 여성에게는 다르게 또는 보다 심하게 나타나는 질환도 여성 건강의 중요한 범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미국의 WHI 연구와 영국의 Million Women Study처럼 오랜 기간 진행된 대규모 연구들은 호르몬과 생애 단계 변화가 질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이해를 크게 확장시켰으며, 여성에게 더 잘맞는, 보다 형평성 있는 의료 환경을 만들기 위한 중요한 토대를 마련했습니다.

규제를 통한 형평성 강화

지난 30여 년 동안 규제 체계는 임상 연구와 의약품 개발에서 성별과 젠더의 중요성을 더욱 폭넓게 인정해 왔습니다. 미국에서는 1993년 제정된 NIH Revitalization Act를 통해 연방 자금이 지원되는 임상시험에서 여성 참여가 의무화되었고, 이후 유럽의 European Medicines Agency(EMA), 영국의 Medicines and Healthcare products Regulatory Agency(MHRA) 등 여러 규제 기관들이 여성의 연구 참여 확대와 함께 호르몬 및 생식 요인을 안전성 평가에 반영하는 노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이러한 변화들은 여성 건강을 규제 및 연구의 우선순위 속에 보다 본격적으로 포함시키는 데 있어 의미 있는 진전을 이루고 있습니다.

여성 건강 분야의 새로운 치료와 통찰

폐경, 자궁내막증, 생식 건강 분야에서 새롭게 승인된 치료제들은 여성 건강 분야의 혁신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또한 연구를 통해 난소 노화, 에스트로겐 신호전달, 조기 폐경, 다낭성난소증후군(PCOS) 및 자궁내막증과 같은 여성 특유의 질환이 치매, 골다공증, 심혈관질환 등 전반적인 건강 결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도 더욱 명확하게 드러나고 있습니다.오가노이드를 포함한 선임상 모델의 발전과 질내 미생물군(vaginal microbiome)에 대한 연구는 발견 속도를 높이고 있고, 자궁내막증 치료를 위한 항 인터루킨-8 항체 AMY-109(Chugai Pharmaceutical Co. Ltd)와 같은 새로운 치료제 개발을 가능케 하고 있습니다. 더 나아가 이러한 연구들은 난소 기능을 연장하거나 여성의 생애 단계별로 더 정밀한 치료 개입을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가능성도 열어주고 있습니다

투자 측면에서의 성장세

여성 건강 분야가 아직까지 글로벌 헬스케어 투자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크지 않지만(2023년 기준 벤처캐피털 15%, R&D 투자 5%), 투자 규모는 꾸준히 성장하고 있습니다. 1999년 이후 바이오·제약 기업들이 약 440억 달러 이상의 자금을 조달한 것도 이러한 흐름을 보여줍니다. 초기 투자는 주로 생식 건강, 불임, 임신 관련 질환에 집중되었지만, 최근에는 자궁내막증(연간 약 1,800–2,200억 달러 규모)과 폐경 치료(연간 약 1,200–2,300억 달러 규모)처럼 미충족 수요가 높은 영역으로 관심이 빠르게 이동하고 있습니다. 비영리 기관들도 이 분야의 투자 격차를 줄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특히 빌&멜린다 게이츠 재단의 2030년까지 25억 달러 투자 약정과, Pivotal–Wellcome Leap의 1억 달러 규모 파트너십은 여성 건강 R&D 분야에서 역사적으로 의미 있는 투자 사례로 평가됩니다.

주목해야할 기업

규제 환경과 투자 우선순위가 빠르게 변화하는 상황에서 여성 건강 분야를 폭넓게 파악하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다양한 기업들이 여성에게 큰 영향을 미치는 질환과 연구 격차를 해결하는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는 만큼, 이를 지원하는 투자자·파트너·연구 기관 등 전체 생태계를 함께 살펴보는 것도 중요합니다. 이 분야를 더 깊이 이해하고 유망한 혁신 기업을 파악하기 위해, 클래리베이트 애널리스트들은 딜 밸류, 임상시험, 특허, 시장 승인 데이터를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여성 건강 분야에서 주목해야 할 7개 기업을 선정했습니다.

  • Daré Bioscience: 샌디에고에 본사를 둔 본 기업은 피임, 성 건강, 골반 통증, 생식력, 감영성 질환, 질 건강, 폐경 등 미충족 요구가 많은 분야에서 근거기반(evidence-based)의 혁신적 치료옵션을 개발,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 Freya™ Biosciences: 덴마크 코펜하겐과 보스톤 메사추세츠에 본사를 둔 본 기업은 멀티오믹스 데이터 사이언스 플랫폼인 DYSCOVER™를 활용해 다양한 여성 생식계 질환의 근본 원인이 되는 만성 염증을 해결하기 위한 미생물 면역치료제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 Gesynta Pharma: 스웨덴 스톡홀롬에 본사를 둔 본 기업은 자궁내막증을 포함해 다양한 질환에서 나타나는 만성 염증과 통증에 관한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 기업의 리드 후보물질인 비포글란스타트(vipoglanstat)는 비호르몬, 비오피오이드 기반의 질환-수정형 치료제 후보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 Granata Bio Corporation: 미국 매사추세츠 보스톤에 본사를 둔 본 기업은 치료옵션을 넓히고 접근성과 비용부담을 개선할 수 있는 생식 치료제의 개발과 상용화를 가속화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 Hope Medicine: 중국에 본사를 둔 이 기업은 내분비, 심혈관, 대사 질환 분야에서 미충족 수요를 해결하기 위한 치료제 파이프라인을 구축하고 있으며, 특히 여성 건강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 Oxolife: 스페인 바로셀로나에 본사를 둔 이 기업은 여성 건강과 생식력 개선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리드 프로그램은 배아 착상률 향상, 대사 건강 증진, 배란 회복, 임신 손실 감소를 목표로 개발되고 있습니다.
  • Reunion Neurosciences: 미국 뉴저지주 모리스타운에 본사를 둔 이 기업은 중등도~중증 산후우울증(PPD) 및 적응장애(AjD) 등 충분한 치료 옵션이 부족한 정신건강 질환을 위해 사이키델릭에서 영감을 받은 치료 솔루션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여성건강 시장은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 빠르게 확대되고 있습니다.

  • 폐경, 생식 건강, 만성 질환 등에서의 시장 잠재력과 임상적 중요성이 주목받으면서, 제약·바이오 기업들의 딜 활동과 투자 모멘텀이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 자궁내막증, 자궁근종, 폐경 관련 증상처럼 그동안 충분히 다뤄지지 않았던 질환을 대상으로 한 비호르몬 치료제와 표적 치료제 등이 등장하며 임상 개발 파이프라인도 빠르게 확장되고 있습니다.
  • 전 세계 규제 기관들이 성별 포함 기준을 강화하고 여성 특화 연구를 장려하면서, 규제·정책 환경 또한 변화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흐름은 증거 격차를 줄이고 여성 건강 분야의 혁신을 촉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여성 건강의 미래를 만들어가는 7개의 기업과 떠오르는 혁신에 대해 더 알아보고 싶으시다면, 클래리베이트에서  발간한 주목해야할 7개 여성건강 기업 보고서를 확인하세요.

Related insights

The latest news, technologies, and resources from our team.

“언드러거블(undruggable)” 표적을 정밀하게 공략하는 6개 혁신기업 “언드러거블(undruggable)” 표적을 정밀하게 공략하는 6개 혁신기업
블로그 2025년 10월 7일
“언드러거블(undruggable)” 표적을 정밀하게 공략하는 6개 혁신기업
chevron_left
chevron_right